개발(10)
-
개발일지 (8월 회고)
Open Source Contribution 전사적으로 구글 AIP(API Improvement Proposal)를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고, 이를 위해 protobuf로 정의된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을 Go, Java, Kotlin, Typescript등의 다양한 언어로 컴파일 해서 사용한다. 프론트엔드에서는 typescript로 컴파일된 인터페이스들과 stub 구현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글의 gax-nodejs라는 라이브러리와, 이를 사용해서 proto 파일을 Typescript 인터페이스로 컴파일해주는 템플릿 라이브러리인 gapic-generator-typescript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다. 실제로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사용해서 컴파일된 결과물들을 가지고..
2022.08.28 -
모노레포의 기술적 요구사항 (1) - Workspaces & Dependencies
Overview 모노레포의 문화적 의의를 다룬 이전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 시리즈에서는 실제로 모노레포를 팀에 도입하기 위해 거쳐왔던 여러 기술적인 고려 사항들을 간단하게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모노레포는 이렇게 운영하는 것이 좋다"라는 가이드라기보다는 프론트엔드 팀이 모노레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겪은 여러 문제들과,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기록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성되었습니다. Workspaces & Dependencies Global Lint & Prettier Deploy & Branch Management Plugin (Optional) Sparse Checkout yarn workspaces # Yarn workspaces aim to make wo..
2022.08.07 -
개발일지 (7월 회고)
Back to Basics 최근 우연한 계기로 React Fiber, Hook에 대한 질문들을 받으면서 "나 프론트엔드 개발자인데 React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지?"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게 되었고, 생각보다 너무 모르고 있는 것 같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GCP Migration이 바빠서, Backend Domain도 알아야 하니까, 프로젝트 일정도 맞춰야 하니까 와 같은 여러 변명들을 할 수도 있지만, 어쨌거나 React에 대해 잘 모르는 개발자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으니 돌아오는 8월부터는 조금 정신 차리고 React를 조금 깊이 공부해보고자 한다. 좋은 기회로 React를 Code Level에서 상세하게 분석해서 올려주신 블로그를 알게 되었고, 꼼꼼히 읽어보면서 "실제로 컴포넌트에..
2022.07.31 -
[Docker in Action] Software installation simplified (2)
Installation files and isolation 실제로 도커에서 우리가 "이미지"라고 부르는 개념은 "이미지 레이어"들의 조합(Collection)을 의미합니다. "이미지 레이어(layer)"는 파일과 파일 메타데이터의 조합으로, 하나의 "Atomic Unit"으로 기능합니다. 도커는 이 각각의 레이어를 이미지처럼 취급하며, 이렇게 이미지를 구성하는 이미지 레이어들과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면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질문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What image properties factor into download and installation speeds? What are all these unnamed images that are listed when I use the doc..
2022.04.17 -
[Browser] Console 객체
Overview Javascript로 웹 개발을 해 보신 분들이라면, 혹은 브라우저에서 Developer Tools(개발자도구)를 사용해 보신 경험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보셨을 것입니다. React나, Angular 혹은 Vue프레임워크를 통해서 규모가 있는 웹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렌더링은 제대로 되는지, 서버와 비동기 통신을 진행할 때 서버에서 response가 제대로 할당이 되었는지 등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의 내부 과정을 살펴보아야 할 일이 생깁니다. 이때 console.log(변수 이름) 이나, console.log('i'm here')등을 통해 개발자가 설계한 순서대로 프로그램이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살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conso..
2020.07.26 -
[Network 용어] 허브(HUB)란?
Overview 네트워크를 공부하거나, 인터넷 연결등을 하다 보면 허브(HUB)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그리고 비슷한 용어로 스위치(Switch), 브리지(Bridge), 라우터(Router)등의 용어들도 많이 듣게 되는데, 처음 네트워크를 접하는 입장에서 이들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구분해 내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4가지의 용어는 서로 다른 장비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눈으로 보기에 이들 장비는 그냥 구멍이 많이 뚫린 상자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 "허브"라는 장비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Definition 허브란 쉽게 말해서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즉 네트워크 장비와 장비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에 접속해서 블로그의 ..
20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