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9)
-
[Web.dev] Chrome DevTools
Overview Web.dev에서 소개하는 Chrome DevTools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합니다. 모든 내용들을 다 다루지는 않고,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을 추려서 중점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아래 Table of Contents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Chrome DevTools는 페이지가 로드되거나 실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모든 것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합니다. 성능 패널 UI에 익숙해지려면 런타임 성능 분석 시작하기를 참조하십시오. 다음 DevTools 기능이 특히 관련이 있습니다. CPU 조절로 덜 강력한 장치를 시뮬레이션합니다. 네트워크 조절로 느린 연결을 시뮬레이션합니다. 기본 스레드 활동 보기로 기록하는 동안 기본 스..
2022.02.28 -
[Kubernetes in Action] Advanced Scheduling
Using taints and tolerations to repel pods from certain nodes Taint는 "얼룩"이라는 뜻이고, Toleration은 "관용, 허용"등의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Node에 Taint를 설정한다는 것은 노드에 "얼룩"을 묻힌다는 것을 의미하며 파드에 Toleration을 설정한다는 것은 "이 노드에 얼룩이 있는데 이거 눈감아 줘"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ntroducing taints and tolerations Taint는 key, value, effect로 구성되며 describe에서 =:의 문법으로 표현됩니다. 실제로 describe node를 하면 description에 "Taints"라는 항목이 나오는데 여기서 어떻게 설정되어 있..
2022.02.28 -
[Kubernetes in Action] Automatic scaling of pods and other cluster nodes
Overview 파드 내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ReplicaSet이나 Deployment, 다른 Scalable Resource의 replicas필드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스케일링할 수 있습니다(Horizontal Scaling). 또한 단일 파드의 CPU나 메모리를 requests나 limits설정을 통해 수동으로 스케일링할 수도 있습니다.(Vertical Scaling). 하지만 이러한 수동 스케일링 방식은 급작스럽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트래픽 변화에 대해서 민감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쿠버네티스에서는 CPU usage 등의 메트릭을 사용해서 Automatic Scaling 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Automatic Scaling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
2022.02.19 -
[Web.dev] Web Security (2)
Overview web.dev에서 소개하는 Web Security에 대한 내용들을 2부에 걸쳐서 정리합니다. 모든 내용들을 다 다루지는 않고,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을 추려서 중점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아래 Table of Contents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정보 유출 방지 Browser sandbox Same-origin policy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 Making your website "cross-origin isolated" using COOP and COEP Why you need "cross-origin isolated" for powerful features Prote..
2022.02.18 -
개발일지 (1월 회고)
Overview 회사가 성과를 측정하는 방식을 22년 1분기부터 KPI(Key Performance Index)에서 OKR(Objective - Key Result)로 변경하면서 여러 가지 변화들이 있었다. 새로운 지표에 맞추어 플래닝이 진행되어야 하다 보니 기존 플래닝보다 조금 더 시간이 걸리는 듯했고, 덕분에 미루고 미뤄왔던 프론트엔드 팀 내의 칸반 작업들을 정리하고 기존에 작성되어 있었던 로직들에 대해서 적당한 수준으로 리팩터링 하고 누락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데 시간을 쏟을 수 있었던 것 같다. Frontend Tech Lead 지금 다니는 회사는 Group 내에 여러 TF(Task Force)가 있고 전사의 분기별 목표를 여러 Group이 나눠 갖고, 각 Group안에 있는 TF들이 Grou..
2022.02.12 -
[Kubernetes in Action] Managing pods' computational resources
Requesting Resources for a pod's containers 파드를 생성할 때, 각각의 컨테이너가 얼마만큼의 CPU 리소스와 메모리를 사용할지를 명시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에서 CPU와 메모리 자원은 컨테이너 단위로 명시되며, 파드의 리소스는 파드 내의 컨테이너에서 사용되는 리소스들의 합으로 정의됩니다. 리소스는 request와 limit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request는 컨테이너가 필요로 하는(최소) CPU와 메모리의 양을 설정하는 것이고, limit은 컨테이너가 최대로 사용할 수 있는 CPU와 메모리의 양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reating pods with resource requests request를 갖는 파드는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습니다. api..
2022.02.12